본문 바로가기

개발/JavaScript13

[JavaScript] 인자 개수가 자유로운 함수 선언(arguments) 나 같은 경우에는 실제 서비스를 개발 시 인자 개수가 자유로운 함수를 정의해야 할 일이 거의 아니 없었다. 근데 알고리즘을 한 번씩 풀다 보면 문제나 예제에 함수 호출 시 argument를 자유롭게 넣는 그런 예시들을 보고 함수 선언을 어떻게 해야 하나 잠시 뇌가 멈췄던 경험을 방지하기 위해 정리한다. 혹시 parameter나 argument에 대해 헷갈리거나 잘 모른다면 이 글을 먼저 보고 오자 https://coking.tistory.com/28 [JavaScript] parameter vs argument javascript에서 함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다 보면 parameter란 단어와 argument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한국말로는 매개변수, 인자 등으로 불린다. 구글에도 javascrip.. 2023. 2. 5.
[JavaScript] parameter vs argument javascript에서 함수를 선언하고 사용하다 보면 parameter란 단어와 argument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게 된다. 한국말로는 매개변수, 인자 등으로 불린다. 구글에도 javascript argument vs parameter라고 검색하면 정말 많은 글들이 나올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하는 주제이다. 어쩌면 사용하면서 자신도 모르게 습득해서 잘 사용하고 있을 수도 있지만 명확히 알고 사용하기 위해 정리해 보자! parameter vs argument function example(parameter) { console.log(parameter); // Output = foo } const argument = "foo"; example(argument); mdn 공식 예제를 보면 위 코드 예시.. 2023. 2. 4.
[JavaScript] 날짜 비교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자바스크립트에서 날짜 비교를 할 때 어떻게 하는 게 가장 정확할까? 최근에 회사에서 새로운 기능을 제작하는데 날짜 비교가 굉장히 중요한 기능이 있어서 지금까지 사용하던 방식들이 맞는지 무엇이 가장 정확한지에 대한 의문이 생겨 글을 정리한다. 검색했을 때 가장 많이 보이는 방법은 이런 식으로 new Date()를 사용하여 비교하는 방식이다. let date1 = new Date("2022-12-31"); let date2 = new Date("2023-01-01"); if (date2 > date1) { console.log("date2 is greater than date1"); } else { console.log("date1 is greater than or equal to.. 2023. 1. 29.
[JavaScript] this란 무엇인가? 어딜 가나 물어보는 ES6 문법 확인해 보면 전부 화살표 함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예시에 this란 아이도 굉장히 많이 보이는데 그러한 모든 것들을 이해하기 위해 this를 짚고 넘어가자 this 값은 실행 컨텍스트(global, function 또는 eval)의 프로퍼티는 비엄격 모드에서 항상 객체를 참조하며, 엄격 모드에서는 어떠한 값이든 될 수 있다고 공식에서 설명한다. 어떠한 값도 될 수 있는 this의 값은 함수를 호출한 방법에 의해 결정되기에 많은 사람들이 어려워했다. 이를 위해 ES5에서는 함수를 어떻게 호출했는지 상관하지 않고 this값을 설정할 수 있는 bind 메서드를 도입했고 ES6에서는 this 바인딩을 제공하지 않는 화살표 함수를 추가했다. const test = { prop: 42.. 2022.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