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5

URL vs URI의 차이점: 헷갈리지 말자! 🤔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개발자들이 헷갈려하는 URL과 URI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URI를 URL이라고 잘못 부르고 있는 거 아닌가?" 하시는 분들, 저도 그렇게 생각했었습니다! 한 번 같이 보시죠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란? 📝URI는 통합 자원 식별자(Uniform Resource Identifier)의 약자입니다. 쉽게 말해서, 인터넷상의 리소스를 "식별"하는 방법이에요. 마치 우리나라의 주민등록번호처럼, 리소스마다 고유한 식별 방법이 필요하죠.URI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URL (Uniform Resource Locator)URN (Uniform Resource Name)URL(Uniform Resource Locator).. 2024. 12. 9.
JavaScript/TypeScript의 for...of와 for await...of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은 for...of와 for await...of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두 구문의 차이를 정확히 아는 개발자가 생각보다 적은데요, 실제 프로젝트에서 잘못 사용하면 심각한 버그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차근차근 알아보도록 할게요!1. 기본 개념for...offor (const item of items) { // items는 일반 배열 console.log(item);}일반 배열을 순회할 때 사용Symbol.iterator를 구현한 모든 컬렉션에 사용 가능배열, 문자열, Map, Set 등에 사용for await...offor await (const item of items) { // items는 Promise 배열 또는 AsyncIterable console.log(i.. 2024. 11. 27.
[NestJS] Queue 완벽 가이드: 기초 개념부터 실전 활용까지 들어가며안녕하세요! Queue 시스템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을 위해 글을 써봅니다. 처음에는 저도 "그냥 바로 처리하면 되지, 왜 Queue가 필요하지?"라는 생각을 했었는데요. Queue의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나니 그 필요성이 확 와닿더라고요.Queue 시스템의 기본 동작 원리Queue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나요?Queue 시스템은 크게 세 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됩니다:Producer (작업 등록자)Queue (작업 대기열)Consumer (작업 처리자)가장 중요한 점은 Consumer가 Queue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실제 동작 흐름1. Producer: "새 작업이 있어요!" → Queue에 작업 등록2. Queue: "새 작업이 들어왔어요!" → Redis에 작업 저장3. C.. 2024. 11. 25.
Redis Key Naming: 성능과 유지보수를 동시에 잡는 방법(실전 개발자의 필수 가이드) 🎯 들어가며Redis를 처음 접하면 많은 분들이 이렇게 생각하시죠."그냥 데이터 넣고 빼면 되는 거 아냐? 키 이름이 뭐가 중요해?" 하지만 실제 프로덕션 환경에서는 조금 다릅니다. 수천, 수만 개의 키가 쌓이기 시작하면... 😱잘 설계된 키 네이밍은 여러분의 구원자가 될 수 있습니다!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 어느 날 갑자기 마주친 Redis 키들u1temp_data_15x_55_infomysterious_key_123이런 키들이 수백 개라면? 디버깅할 때 눈물이 앞을 가릴 겁니다...자, 이제 제대로 된 키 네이밍 전략을 알아볼까요?Redis Key 설계의 황금률 ⭐️1. 계층 구조를 활용하세요// 기본 패턴`object-type:id:field`// 예시`user:1001:profile``prod.. 2024. 11. 23.